만성 기관지염
[chronic bronchitis]
2년 연속, 일년에 3개월 이상 가래가 동반되는 기침이 지속되는 질환
신체기관
기관지
객담 , 청색증 , 기침 , 호흡장애 , 객혈 , 만성 기침
정의
만성 기관지염이란 2년 연속, 1년에 3개월 이상 가래가 있고 기침이 지속되는 질환이다. 그러나 만성 기관지염 외의 다른 폐질환 또는 기도 질환에서도 가래가 있는 기침이 장기간 지속될 수 있기 때문에 만성 기관지염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른 폐질환 또는 기도 질환이 없는지 검사해 보아야 한다. 만성 기관지염은 폐기종과 질병의 발생 기전 및 질병의 경과가 유사하여 이 두 질환을 한데 묶어 만성 폐쇄성 폐질환이라는 질환군으로 분류한다.
증상
만성 기침, 가래, 운동시 호흡곤란이 주증상이다. 가래는 대개 하얀색이나 약간의 노란색을 띄는 점액성이며 아침에 많이 나오는 경향이 있다. 병이 진행할 경우 비교적 수개월에서 수년에 걸쳐 서서히 호흡곤란이 심해져 약간의 활동에도 호흡곤란을 느끼게 된다.
또한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특징인 급성 악화가 있을 수 있는데 급성 악화 시에는 수시간에서 수일 사이 호흡곤란이 빠르게 악화되고 가래의 양이 늘어나거나 가래의 성상이 점액성에서 화농성으로 변하면서 진한 노란색이나 푸르스름한 색을 띄게 되고 점도가 높아져 뱉어내기 힘들어진다.
원인
흡연, 대기 오염, 직업적 노출 등의 자극이 기관지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만성 기관지염이 발병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관련신체기관
기관지
진단
담배를 피운 적이 있거나 직업적으로 먼지나 화학 물질에 노출된 과거가 있으면서 만성 기침과 가래, 호흡곤란이 있을 때 만성 기관지염을 의심해 볼 수 있다. 특히 호흡곤란이 지속적이고 서서히 악화되며, 운동 시 심해지고, 기도 감염 시 급성으로 악화되는 게 전형적인 증상이다. 그렇지만 정의에서 살펴보았듯이 만성 기관지염의 진단은 발생 기전에 근거한 것이 아니라 증상 위주의 진단이므로 비슷한 증상으로 발현할 수 있는 타 질환을 배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만성 기관지염의 진단을 위해 사용하는 검사들은 폐기능 검사, 단순 흉부 방사선 촬영(Chest X-ray),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Chest CT) , 기관지 내시경(Bronchoscopy) 등이 있다.
검사
폐 기능 검사는 기류 폐색의 정도를 측정하고 질병의 악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시행한다. 단순 흉부 방사선 촬영(Chest X-ray) 의 경우 만성 기관지염의 증거를 찾기 보다는 비슷한 증상으로 발현할 수 있는 타 질환을 배제하기 위해 시행한다.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Chest CT) 은 단순 흉부 방사선 촬영(Chest X-ray)보다 해상도가 좋긴 하지만 기관지 염증 여부를 판별하는데 민감한 검사는 아니므로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Chest CT)에서 이상이 없다 하더라도 만성 기관지염이 아니라고 단정할 수는 없으며 이 검사를 시행하는 의미는 단순 흉부 방사선 촬영(Chest X-ray)과 마찬가지로 다른 질환을 배제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기관지 내시경의 경우 만성 기관지염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흔히 시행하는 검사는 아니며 객혈이 있다거나, 국소적으로 기도 폐색이 있거나, 기관지 암 등이 발생했을 것으로 의심되는 환자에게만 선택적으로 시행한다.
치료
기침, 가래와 함께 일상 생활에 장애를 주지 않을 정도의 가벼운 호흡곤란만 있는 질병 초기에는 기침을 억제하고 가래를 묽게 하여 잘 뱉어내게 하는 약을 복용하고 호흡곤란이 급성으로 악화될 때에만 일시적으로 기도 확장제를 흡입하도록 한다. 질병이 진행하면 호흡곤란이 심해지게 되므로 이 시기에는 증상의 중증도에 따라 각각 다른 기전으로 기도를 확장시켜 줄 수 있는 흡입제를 1~3 종류를 사용하고 경구약 또한 복용한다. 질병이 더 진행하여 안정 시에도 호흡곤란을 느끼고 저산소증이 오게 되면 가정 산소 요법을 시행한다.
생활가이드
만성 기관지염을 유발할 뿐 아니라 악화시킬 수 있는 위험 요인을 제거해야 한다. 흡연자의 경우 금연하도록 하며, 직업적으로 미세 먼지나 화학 물질에의 노출이 의심되는 경우 더 이상 노출되는 것을 막도록 한다. 또한 독감 예방 접종과 폐렴 예방 접종을 통해 급성 악화의 원인이 되는 기도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해당 콘텐츠 저작권은 서울대학교병원에 있습니다.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