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 배너
본문으로 바로가기

진료질환정보

다초점성 운동신경병증
[multifocal motor neuropathy]

한 줄 설명

운동신경에만 국한된 신경의 전도차단이 여러 말초신경에 다발적으로 나타나는 질환

진료과 ?해당 과를 클릭 하면진료과로 바로 연결됩니다.

소아청소년과 ,   신경과 ,   재활의학과

관련
신체기관

말초신경, 운동신경

정의

다초점운동신경병증은 근력 약화와 근육 위축이 수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는 질환이다. 이 질환에서는 같은 신경 줄기에서 국소적인 운동신경의 전도차단 증상이 관찰되지만 상대적으로 감각신경섬유의 기능은 보존된다.

증상

근력 약화와 근육 위축이 수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고, 같은 신경줄기에서 국소적인 운동신경 전도차단 증상이 관찰되며, 감각신경섬유는 상대적으로 보존된다. 다리보다 팔이 침범되는 경우가 흔하며, 전체 환자의 75% 이상이 남자이다. 임상적으로는 근육 위축 및 근육다발수축이 나타나고, 심부건반사(Deep tendon reflex; 자극 중에 뇌를 거치지 않고 척추뼈 속에 있는 척수를 돌아서 바로 반응을 보이는 경우, 무릎뼈 아래쪽이나 상완근 말단부분 등에 물리적 자극을 가할 경우 자신도 모르게 다리가 튀어 올라가거나 팔이 튀는 현상 등)는 신경병증의 침범 양상에 따라 정상이거나 감소될 수 있으므로 근육위축가쪽경화증(루게릭병, ALS)의 아래운동신경세포병증과 혼동되기 쉽다. 비대칭적인 증상을 보이는 경우도 많으며, 신경전도검사상 여러 곳에서 전도차단 현상이 관찰된다.

원인

다초점운동신경병증의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바가 없다.

관련신체기관

말초신경, 운동신경

진단

신경과 전문의의 진료를 통하여 임상 진단을 내릴 수 있으며, 이후 신경전도검사를 시행하고 혈액검사를 통해 면역글로불린M 항 GM1 항체 및 항 GD1a 항체를 발견하여 진단할 수 있다. 위의 항체들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결과 해석에 주의를 요한다. 일부 다른 말초신경병증과 감별이 잘 되지 않는 경우에는 신경 생검을 시행하는 경우도 드물게 있다.

치료

대부분의 다초점운동신경병증 환자는 고용량의 면역글로불린 정맥주사에 효과를 보이고, 효과가 없는 환자들은 면역억제제에 반응을 보인다. 스테로이드 치료는 잘 시행하지 않는 편이다.

경과/합병증

장기적인 증상 변화 및 경과에 대해서는 아직 자세히 알려진 바가 없다. 다만 고용량의 면역글로불린 정맥주사에 어느 정도 반응을 보이므로 병의 경과 및 치료 결과가 좋을 것이라고 추정된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해당 콘텐츠 저작권은 서울대학교병원에 있습니다.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 홈페이지의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시면 검토하여보다
편리한 홈페이지
를 만들겠습니다.


※ 개별 답변을 드리는 창구가 아니오며,
병원에 대한 전반적인 문의는 전화'1588-5700' (예약문의: 1번, 기타: 2번)로,
불편이나 고충 관련고객의 소리로 접수 부탁드립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1. 수집/이용 목적: 홈페이지 의견접수를 통한 개선사항 검토 및 반영
2. 수집하는 항목: 이름, 제목, 내용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2년
4.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전화예약상담(1588-5700)또는 고객상담실(02-2072-2002​)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메뉴

전체 검색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