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 배너
본문으로 바로가기

센터 / 클리닉

부정맥 클리닉

소개

1. 대상질환

부정맥, 두근거림, 상심실성 빈맥


2. 소개

부정맥은 불규칙한 맥박, 빠른맥, 느린맥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증상으로는 가슴 답답함, 내려앉는 느낌, 두근거림, 어지러움, 실신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발작성의 심한 빠른 맥은 수시간, 수일 지속되는 경우 서서히 심기능을 저하시켜 실신, 심부전을 일으킬 수 있고, 심한 느린맥 또한 실신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부정맥은 여러가지 종류가 있으며 진단에 따라, 치료가 필요 없이 경과 관찰하는 가벼운 종류의 부정맥이 있는가 하면, 약물을 복용하며 부정맥의 재발을 막거나, 고주파 전극절제술을 통해 완치가 가능한 부정맥도 있습니다. 유전성의 심장 세포 이온 channel 이상으로 발생하는 부정맥은 실신, 급사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이런 부정맥과의 감별진단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24시간 심전도 모니터 검사, 운동부하 검사 등을 통해 감별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증상 발생 당시의 심전도가 있다면 부정맥 진단과 치료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서울대병원에서는 소아에서 발생하는 상심실성 빈맥, 심실빈맥, 심방성빈맥 등 시술로 완치가 가능한 부정맥의 경우 고주파 전극절제술의 시술을 시행하고 있으며 성공률은 95% 이상으로 예후가 좋습니다.

의료진 소개

  • 배은정

    Bae, Eun-Jung

    진료과 심장
    세부전공 진단, 치료, 심장 초음파 검사, 고주파 전극절제술 
  • 김기범

    Kim, Gi Beom

    진료과 심장
    세부전공 진단, 치료, 심장 초음파 검사, 고주파 전극절제술 
  • 송미경

    Song Mi-Kyoung

    진료과 심장
    세부전공 진단, 치료, 심장 초음파 검사, 고주파 전극절제술 
  • 이상윤

    Lee, SY

    진료과 심장
    세부전공

통합검색

진료회원인증

최초 1회 진료회원 인증이 필요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진료 예약 시 건강보험 가입여부 확인 및 진료회원 인증을 위해 주민등록번호 또는 환자번호(진찰권번호)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 수집 고지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합니다.
- 수집 목적 : 건강보험 자격확인 및 진료회원인증
- 수집 근거 : 건강보험법 제12조, 의료법 제22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14조
- 수집 기간 : 의료법 시행규칙 제15조에 따른 보존기간에 따름

이름
주민등록번호
국적
주소
진찰권번호
(환자번호)
본인인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