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 배너
본문으로 바로가기

센터 / 클리닉

요로결석 클리닉

소개

1. 대상질환 

요로결석(Urolithiasis), 신석회증(Nephrocalcinosis)


2. 소개

소아요로결석은 성인과는 달리 유전, 나이, 성별과 같은 내적인 요인이 더 크게 작용하여 발생하며, 성인보다 재발의 위험성이 더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신세관산증과 같은 유전성 대상장애에 대한 세심한 검사가 필요하며, 수술 후에도 꾸준한 대사검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본 클리닉의 장점은 요로결석과 관련된 다양한 유전, 대사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해 최고 수준의 임상경험을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특히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 내 희귀질화센터와 협진체계를 구축하고 있어 빠르고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한편, 소아결석은 재발하는 특성으로 반복되는 치료가 필요하며, 이로 인해 신기능의 손상 위험성이 높습니다. 최근에는 성인에서와 같이 연성내시경 등을 이용하여 조직손상을 최소화하는 수술방법이 적용되고 있으며, 본 클리닉에서도 활발하게 시행하고 있습니다. 소아는 성인과는 달리 체외충격파쇄석술을 시행하더라도 전신마취가 필요한데, 본 클리닉에서는 소아전문마취를 통해 문제없이 체외충격파쇄석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요로결석 제거 후에도 신장기능 및 대사검사에 대한 지속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하며, 소아청소년 신장분과와의 유기적인 협력진료를 통해 포괄적인 관리가 가능합니다.

의료진 소개

  • 임영재

    IM YOUNG JAE

    진료과 소아비뇨의학과 (처음진료 의료진)
    세부전공 진단, 비수술적 치료, 수술적 치료와 수술 후 관리 
  • 박관진

    Park, Kwanjin

    진료과 소아비뇨의학과
    세부전공 진단, 비수술적 치료, 수술적 치료와 수술 후 관리 
  • 강희경

    Kang, Hee Gyung

    진료과 신장
    세부전공 진단, 비수술적 치료, 수술 후 관리 

통합검색

진료회원인증

최초 1회 진료회원 인증이 필요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진료 예약 시 건강보험 가입여부 확인 및 진료회원 인증을 위해 주민등록번호 또는 환자번호(진찰권번호)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 수집 고지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합니다.
- 수집 목적 : 건강보험 자격확인 및 진료회원인증
- 수집 근거 : 건강보험법 제12조, 의료법 제22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14조
- 수집 기간 : 의료법 시행규칙 제15조에 따른 보존기간에 따름

이름
주민등록번호
국적
주소
진찰권번호
(환자번호)
본인인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