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 클리닉
소개
1. 대상질환
저신장, 성장부진, 골격이형성증
short stature, failure to thrive, skeletal dysplasia
2. 소개
키 순서가 백명중 작은 순서로 백명 중 1등과 2등이면 저신장이라 말하며,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정상 저신장(가족성 저신장, 체질성 성장지연, 따라잡기 못한 부당경량아 또는 저체중 출생아)도 있지만 질병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성장장애란 키 성장속도가 점점 줄어들거나 증가하는 경우를 말하며 이 경우는 대개 질병과 관련이 있습니다. 갑상선기능저하증, 성장호르몬결핍증, 쿠싱증후군과 같은 내분비 질환, 만성콩팥부전 등과 같은 만성질환, 터너증후군, 프라더윌리증후군, 누난증후군 등의 유전성 증후군 뿐만 골격이형성증, 구루병 등이 있으면 키 속도가 점점 줄어듭니다. 또한 남성호르몬 또는 여성호르몬에 조기 노출되면 키 성장속도가 점점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골연령을 포함하여 필요하면 피검사(빈혈, 만상염증, 간기능, 콩팥기능, 산염기 이상, 소변 검사, 갑상샘호르몬, 인슐린량 성장인자-I 등), 소변 검사를 일차적으로 시행합니다. 만약 키 성장속도가 적으면 절절한 호르몬 검사를 추가하고, 필요하면 뇌 MRI를 촬영합니다.
교과서적으로 성장호르몬 치료의 적응이 되는 질환의 경우에 부작용에 대한 추적과 함께 성장호르몬 치료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만약 골격이형성증이 있다면, 소아정형외과에서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안내
-
안내사항
과거 키와 체중 기록(영유아검진 포함)을 가지고 오시면 원인 진단을 찾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
병원에 오시는 것이 필요한 경우
- 키가 3백분위 미만으로 작은 경우 - 키가 3백분위수 이상이지만, 부모키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거나 큰 경우 - 키에 비해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경우 - 사춘기도 아닌데 점점 키 백분위가 커지는 경우 - 키 백분위가 작아지는 경우 - 체중이 갑자기 증가하는 경우 - 성호르몬에 의한 신체 변화가 남아 만 9세 미만, 여아 만 8세 미만에 나타난 경우 - 성호르몬에 의한 신체 변화가 남아 만 13세, 여아 만 12세가 되어도 생기지 않는 경우 - 작게(2.5 kg) 또는 일찍(34주 미만) 출생한 아이 - 아이가 키에 대해 예민한 경우
의료진 소개
-
신충호
Shin, Choong-Ho
진료과 내분비대사 (처음진료 의료진)세부전공 저신장의 평가 및 치료 -
이영아
Lee, Young Ah
진료과 내분비대사 (처음진료 의료진)세부전공 저신장의 평가 및 치료 -
조태준
Cho, Tae-Joon
진료과 소아정형외과세부전공 골격이형성증의 진단과 치료
잠깐! 세부전공을 확인해 주십시오.
- 정확히 선택하기 어려운 경우, 예약센터(1588-5700)로 문의후 예약해 주세요.
- 진료 분야가 맞지 않게 예약된 경우, 진료를 받을 수 없습니다.
- 세부전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