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 배너
본문으로 바로가기

센터 / 클리닉

경직 클리닉 (Spasticity clinic)

소개

1. 대상질환
뇌성마비 (Cerebral palsy), 외상성뇌손상 (Traumatic Brain Injury), 척수손상 (Spinal cord injury)등의 환자 중 심한 경직이 문제가 되는 경우

2. 소개
경직은 뇌성마비, 뇌졸중, 외상성뇌손상, 척수손상, 종양 등 중추신경계의 질환이나 손상에 의해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의 하나로 근육의 긴장도가 증가한 상태를 말합니다. 관절 운동범위를 감소시키는 것과 함께 수의적 운동기능을 상실하게 하는 등의 기능 장애를 초래하게 됩니다. 따라서 경직현상을 발견하여 적절한 시기에 치료하는 것이 환자의 기능 회복에 이상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경직 클리닉에서는 향후 치료방법 상의 및 수술적인 치료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소아재활의학과, 소아신경외과, 소아정형외과의 교수진이 함께 모여 같은 방에서 동시에 진료를 합니다. 다학제 통합 진료를 통하여 약물요법, 보툴리눔 주사 요법, 수술적인 요법 등 여러 경직 치료방법 중에서 최선의 치료법을 선택하고 세부적인 치료 방침도 계획합니다.

안내

의료진 소개

  • 방문석

    Bang, Moon Suk

    진료과 소아재활의학과 (처음진료 의료진)
    세부전공 경직의 평가 및 재활치료,보톡스를 이용한 운동점차단술 
  • 이지연

    Lee, Ji Yeoun

    진료과 소아신경외과
    세부전공 경직의 진단 및 수술적 치료 선택적 후근 절제술, 바클로펜 펌프 등 

통합검색

진료회원인증

최초 1회 진료회원 인증이 필요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진료 예약 시 건강보험 가입여부 확인 및 진료회원 인증을 위해 주민등록번호 또는 환자번호(진찰권번호)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 수집 고지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합니다.
- 수집 목적 : 건강보험 자격확인 및 진료회원인증
- 수집 근거 : 건강보험법 제12조, 의료법 제22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14조
- 수집 기간 : 의료법 시행규칙 제15조에 따른 보존기간에 따름

이름
주민등록번호
국적
주소
진찰권번호
(환자번호)
본인인증